1. du 명령어

-h 보기 좋게 용량을 표시 MB GB

-s 선택한 디렉터리의 용량을 표시함 측 총합만 표시

2. aquota.user와 같은 쿼터 기록 파일 만드는 명령 - quotacheck

sudo quotacheck -cum /파일시스템

-c 쿼터 파일 생성

-u 사용자 쿼터 확인

-g 그룹 쿼터 확인

-m 마운트 여부 무시

3. drwxrwx--- > chmod o+t /project

스티키 비트가 설정되면 t, T 가 붙음

t 스티키 비트 설정되어 있고, 실행 권한도 있음

T 스티키 비트 설정은 되어있지만 실행 권한이 없음

4. 사용자 홈 디렉터리를 포함한 모든 파일이나 디렉터리의 그룹 소유권을 ihd로 변경하는 명령어 - chgrp

하위 까지 변경은 R

chgrp -R ihd ~ihduser

-R 하위 디렉까지 변경

~사용자이름 → /home/ihduser 이라는 뜻임

5. 생성 가능한 파일 크기가 가장 큰 파일 시스템

ext3 - ext4 - XFS - Btrfs - ZFS(스탭샷빠름, 레이드)

XFS 성능 가장 빠름

6. 사용자가 로그아웃할 때 실행할 명령을 등록하는 파일 ~/.bash_logout

~./bash_profile: 환경변수와 bash가 수행될 때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지역적인 시스템 설정과 관련된 파일

~/.bash_logout: 사용자가 로그아웃하기 바로 직전에 실행하는 프로그램에 관한 지역적인 설정

~/.bash_exit: 세션이 끝날 때 실행할 사용자 스크립트

7. 사용자가 로그인 직후에 부여 받은 셸을 확인하는 방법

echo $SHELL

grep ihduser /etc/passwd

env | grep SHELL

chsh -l → 이건 내가 사용가능한 쉘을 보는 명령어

이거와 같은 건 /etc/shells

8. cron 관련 디렉터리 및 파일의 역할

/etc/cron.* 디렉

리눅스에서 cron작업을 간편히 관리하기 위해 미리 정의된 디렉터리

이 디렉에 스크립트 넣어두면 주기적으로 자동 실행

/etc/cron.d

주기적 작업을 추가할 때 사용하는 디렉터리

여기에 작업을 넣어두면 cron이 해당 파일을 읽고 작업을 실행

/etc/crontab

시스템 전체의 cron 작업을 정의하는 메인 설정파일

여기서 tab은 table의 약자로 시간표 형태의 작업 목록의미

/var/spool/cron

각 사용자가 개인적으로 등록한 crontab 파일이 저장되는 위치

9. ps 명령어

a 터미널과 연관된 모든 프로세스 출력

u 자세한 정보 추가 출력

x 터미널과 관련 없는 프로세스도 출력(데몬들이 이 옵션을 사용하면 같이 출력됨)

e 모든 프로세스 출력 (모든 사용자의)

10. 시그널 번호

1 SIGHUP 재시작

2 SIGINT 인터셉트 ctrl c

3 SIGQUIT 종료 + 덤프 생성

9 SIGKILL 강종

15 SIGTERM 정상종료

17 SIGHLD 자식 프로세스 종료 알림

18 SIGCONT 정지된거 다시 실행

19 SIGSTOP 정지

20 SIGTSTP 터미널 정지 Ctrl Z

kill은 정상 종료 15번 SIGTERM

11. 에디터 특징에 따라 분류

문법 강조 기능: vim, nano

GUI 기반: gedit

GPL 라이센스 - nano

자동 들여쓰기 기능 - nano, vi

12. vi 치환하기

% - 문서 전체

g - 행 전체

없으면 처음 하나

s/\<ind\>

\< 단어 \> → 정확히 이 단어를 치환하겠다.

13. vi 명령

:ab 약어 정의

입력 중 특정 키워드를 자동으로 다른 텍스트로 바꾸주는 기능

:ab만 하면 약어 목록 보는 것

:set - 환경설정 보기 또는 변경

:set all - 모든 설정 항목 나열

:map - 키 매핑

14. 패키지 제거 명령어

Debian

apt remove - 패키지 제거

apt purge - 설정파일까지 제거

apt autoremove - 제거 후 불필요한 패키지까지 제거

dpkg -r 패키지 제거

dpkg -P Purge 설정파일까지 같이 제거

Red Hat

yum remove

dnf remove 패키지 제거

15. SUSE 수세 리눅스

yaST - Zypper

yaST 통합 시스템 관리 도구

여기에 Zypper가 포함 이게 저장소 기반 패키지 관리기법임

yum, zypper apt-get 처럼

apt-get 고전적 패키지 관리 도구

apt 현대적

16. zcat - gzip 압축된 텍스트 파일일 보는 명령어

17. CUPS 오픈소스 프린팅 시스템

CUPS는 HTTP 기반의 IPP를 사용 SMB 프로토콜도 부분적 지원

bsd와 system V 모두 사용 가능

LPRng

리눅스 초기 인쇄 시스템

BSD 계열 사용

18. 프린터 관련 명령어

BSD

lpr lpq lprm lpc

System V 계열

lp lpstat cancel

19. pnm - scanimage 명령어 시 기본 적용 이미지 형식 tiff 도 사용가능

20. 사운드 카드 제어 명령어 alsactl 옵션은

-E 환경변수 설정

-f 환경 설정 파일을 지정

-i init 위한 설정 파일 지정

21. OSS

1992 Hannu 가 개발

2007 GLP 공개

2008 BSD 공개

22. XSANE

XSANE는 X윈도용 gui sanner 프로그램

이떄 라이브러리는 GTK+

23. CSMA/CD

이더넷 망에서 단말기가 전송로의 신호 유무를 조사하고 다른 단말기가 신호를 송출하고 있는지 확인하는것

PSDN

공중 전화망

PSTN packet switched data netowrk

패킷 교환 데이터망

Frame Relay

고속 패킷 교환 기술

24. FDDI

전송 매체를 광섬유 케이블을 사용하여 설계된 링 구조의 통신망

X.25

ITU-T 표준 패킷 교환 네트워크 프로토콜

ATM

고속 셸 교환 네트워크

DQDB

이중 버스 기반 메트로 네트워크

IEEE 802.6 표준 도시권 전용 기술 MAN

25. 패킷 교환 방식의 특징

비연결성 기반 이론상 무제한 연결가능

라우팅 필요

혼잡 발생 가능

데이터 분할 전송

26. MAC 관련 명령어

arp

MAC 주소 캐시 테이블 확인

/etc/hosts

도메인 - ip 1대1 대응

route

라우팅 테이블 확인 / 설정

ifconfig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확인

27. 국제표준 정리

ISO

OSI 7계층

EIA

랜케이블 규격

ITU

통신 5G 제정

IEEE

이더넷

와이파이

블루투스

부동소수점 표준

IANA

인터넷 할당 번호 관리 IP 주소 최상 도메인 관리 기구

28. 삼바와 관련이 있는 것

SMB

윈도우 기반 파일 프린터 공유 프로토콜

CIFS

SMB의 구현체

NetBIOS

초기 LAN 환경에서 컴퓨터 이름을 기반으로 통신하는 세션 계층 프로토콜

이걸 흉내내서 컴퓨터 이름으로 접근함

RPC remote procedure call

원격 서버의 함수를 마치 로컬 함수처럼 호출하는 통신 방식

29. SMTP 메일 서버 간 메시지 교환 프로토콜

30. 리눅스 커널 기반의 운영체제

webOS

QNX는 유닉스 계열

31. VirtualBox는 오라클에서 만든 반가상화 기반임

라이센스는 GNU GLP

VMware VMDK 지원

MS Virtual PC 이미지 VHD 지원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