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18일 학습 요약

  • web01, web02 서버에 각각 도메인(DNS) 등록 후 웹 서비스용 패키지 설치 및 index.html 파일 생성
  • 두 웹 서버를 대상으로 요청을 분산하기 위해 라우터 서버에 HAProxy 설치 및 구성

HAProxy 설정 주요 내용:

  • frontend에서 80포트 수신
  • backend에 web01, web02 서버를 roundrobin 방식으로 연결
  • L7 방식 사용 (User-Agent 기반 분기도 가능함)
  • systemctl로 haproxy 서비스 시작 및 부팅 시 자동 실행 설정

내부망도

내부 Windows VM에서 라우터 IP로 웹 접근이 안 되었던 이유는, 라우터 내부 NIC가 속한 firewalld zone(internal)에 http 서비스가 허용되지 않았기 때문.
http를 internal zone에 허용한 후에는 접속 가능해짐

L4 vs L7 정리:

  • L4는 IP와 포트 기반으로 요청을 분산
  • L7은 HTTP 헤더(User-Agent 등) 기반으로 더 세밀한 조건 분기가 가능

/etc/hosts 파일을 수정하면 DNS 서버 없이도 도메인 이름으로 서버 접근 가능
실습 환경에서 도메인 설정 시 매우 유용함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