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수빈98 2025. 4. 10. 22:01

VMware로 실습하는 과정에서 DHCP 설정을 해줬었다.

이게 뭐하는건데 설정을 해줬던걸까?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동적 호스팅 설정 프로토콜

네트워크 장치가 IP주소,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 DNS 등을 자동으로 받도록 해줌

 

필요성

매번 수동으로 IP,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 DNS등을 설정하기는 힘들고 오류도 생김

그래서 자동으로 이것들을 설정해줄 무언가가 필요했음

 

동작흐름

D.O.R.A

Discover: 할당 받아야하는 클라이언트가 "누가 DHCP 서버야" 하고 브로드캐스트

Offer: DHCP 서버는 IP주소 등을 할당해서 제안

Request: 클라이언트는 "그렇게 할게요"

ACK: 서버는 그 주소 등의 사용을 확정

 


 

특징

임대: 무한이 할당되지 않음. 일정 시간 지난 후 회수

고정 IP 예약: DHCP서버에 MAC 주소를 등록하면 항상 같은 IP를 받을 수 있음

DHCP 위치: 공유기, VMware NAT 장치, 클라우드 환경(VPC) 안에 있음

 

 

 

마무리

VMware 실습 시간에 vmnet8 NAT 방식의 네트워크 어댑터 설정을 하는데 이때 DHCP라는 용어가 나오고 별도의 아이피를 적어줬었는데 그게 이 서버가 할당해줄 ip의 영역

 

제어판에서 네트워크 어댑터 설정 변경에서 봤던 이더넷들이 NIC들이고 거기서 하나가 진짜 물리적 이더넷 NIC 나머지는 VMware가 만든 가상 N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