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일지/클라우드 SA 교육

VMware_ESXi 사용해보기

박수빈98 2025. 6. 10. 22:05

이건 티어 1 하이퍼바이저의 업계 표준과도 같은 위치에 있다.

오늘 써보니까 정말 그런 거 같다.

실습해 본 버전이 6.7이었는데 웹 기반으로 조작할 수 있고 굉장히 깔끔했다.

 

지금까지 실습해 본 Tier 1 하이퍼바이저들이 Microsoft Hyper-V, KVM, XEN를 간단하게 사용해 보면서 느낀 게

깔끔한 건 KVM과 오늘 써 본 VMware_ESXi였다.

 

지금까지 Tier 1 실습하는 것과 같이 별도의 컴퓨터가 없어 원래처럼 하드웨어 위에 바로 설치할 수 없었다.

그렇기에 VMware 위에서 중첩 가상화로 ESXi용 VM을 만들고 실행했다.

 

VMware ESXi

Tier 1 하이퍼바이저

별도의 운영체제 없이 하드웨어 바로 위에서 커널을 통해 가상화를 해주는 플랫폼이다.

또한 ESXi는 경량 웹서버를 가지고 있어서 웹 UI를 통해 하이퍼바이저를 동작할 수 있다.

 

내 실습환경에서는 VMware 위에서 실습을 진행했다.

 

실습

VMware ESXi를 실행하면 설치가 진행되고 이 화면이 뜬다.

 

여기에 적힌 IP로 접속하면 웹페이지가 뜨고 거기서 조작하면 된다.

 

대시보드

 

모니터링

 

관리

다양한 ESXI 설정들을 변경할 수 있다.

이미지에는 로그인 실패 시 계정을 잠그는데 그 실패 횟수를 지정하는 것이다. 0은 설정 안 함으로 설정할 수 있다.

 

가상 시스템

여기서 VM을 만들 수 있다.

 

1. 생성 유형 선택

 

2. 이름 및 게스트 운영 체제 선택

평소에는 Rocky를 사용했지만 6.7 버전이 나올 당시에는 사용되지 않아서 포함되지 않음 CentOS 사용

 

3. 스토리지 선택

VMware ESXI에게 할당해 준 128GB에서 나줘주면서 사용

 

 

4. 설정 사용자 지정

하드웨어 설정과 네트워크 관련 설정 가능

 

5. 생성완료

깔끔한 화면에 웹상에서 바로 VM 접속이 가능하다.

자원 모니터링까지 한 번에 할 수 있다.

Rocky 8 webserver 설정

#아파치 웹서버 설치
dnf install -y httpd
# 실행하기
systemctl enable httpd
# http 포트 허용
firewall-cmd --permanent --add0service=http
firewall-cmd --reload
# SELinux Enforcing 끄기
setenforce 0

 

 

 

추가)

OVA로 바로 만들기로도 VM 생성 가능

그전에 만들어 뒀던 OVA는 6.7 버전의 ESXI에 맞지 않아 변환을 해줘야 함

 

여기서 ESXi 버전에 맞는 걸 선택해 변환

 

ESXi의 네트워크

구성 요소

포트 그룹 (Port Groups)

포트 그룹은 vSwitch의 포트를 논리적으로 분리하고, 각각의 네트워크 정책이나 VLAN을 적용할 수 있게 해주는 논리 단위다.

  • 역할: 가상 머신이나 VMkernel이 연결되는 논리적 네트워크 세그먼트.
  • 예시:
    • VM Network: 가상 머신들이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할 때 사용하는 그룹.
    • Management Network: ESXi 호스트 자체의 관리용 IP (예: vSphere Client 연결 등).
  • 구성 요소:
    • 연결된 vSwitch
    • VLAN ID (0이면 VLAN 태깅 없음)
    • 연결된 가상 머신 수

 

가상 스위치 (Virtual Switch / vSwitch)

  • 역할: 실제 스위치처럼 가상 환경 내에서 네트워크 트래픽을 전달.
  • 예시: vSwitch0는 기본으로 생성된 가상 스위치.
  • 구성 요소:
    • 여러 개의 포트 그룹과 연결 가능
    • 하나 이상의 물리 NIC과 연결 가능 (업링크 역할)

 

물리적 NIC (Physical NIC 또는 vmnic)

  • 역할: ESXi 호스트와 외부 네트워크 간 트래픽을 처리하는 실제 네트워크 카드.
  • 예시: vmnic0, vmnic1 등이 있으며, vSwitch에 연결되어 포트 그룹이 외부와 통신할 수 있게 해 줌.

 

VMkernel NIC

  • 역할: ESXi 내부 네트워크 기능을 위해 사용되는 특수 NIC.
  • 용도:
    • ESXi 호스트 관리 트래픽
    • vMotion
    • iSCSI/NFS 스토리지
    • Fault Tolerance
  • 예시: vmk0는 보통 Management Network에 연결되어 있음.

 

정리

기본적으로 가상 스위치라는 개념을 통해 가상머신과 외부 네트워크 또는 가상머신끼리의 통신을 처리한다.

이건 Tier2 VMware에서도 vSwitch를 만들어 VM을 연결했던 것과 일치한다.

 

ESXi는 자체적으로 vSwitch를 만들고 vmnic까지 만들어 연결시켜 놓는다.

그 후 Management network에 웹을 띄우고 VM을 만들면 vSwitch에 연결한다.

VM이 만들어지면 vSwitch에 연결된다.

 

지금 상황을 간단하게 정리하면

 

이렇게 중첩가상화된 환경이다.

 

마무리

이번 ESXi로 하이퍼바이저 학습은 모두 끝났다.

지금까지 배운 게 정말 다양했다.

Tier 1, Tier 2 하이퍼바이저, OpenStack까지 온프레미스 환경에서 할 수 있는

거의 대부분의 기술을 간략하게나마 체험해본 것 같다.

이렇게 초기 설정을 어떻게 하는지 해봤으니까 내일부터 시작되는 일주일 정도의 세미프로젝트에서는 배웠던

퍼블릭 클라우드 + VPN + 온프레미스 OR 프라이빗 클라우드(Openstack)로 간략하게나마 인프라 구축을 해보면서

혼자서 만들어보며 이것저것 해봐야겠다.